끼안띠 vs 끼안띠 클라시코
끼안띠가 뭐죠?
토스카나 지방에서 나는 와인의 이름을 끼안띠, 끼안띠 클라시코라고 이름 붙였어요. 품종은
산지오베제 Sangiovese 를 주로 사용하는 와인의 종류 라고 보면 됩니다!
끼안띠와 끼안띠 클라시코는 어떤 차이일까?
등급의 차이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그렇지는 않아요.
끼안띠 클라시코 내에서도 등급이 있긴 하지만 (아래 사진 참고)
그게 끼안띠와 끼안띠클라시코를 구분하는 기준은 아니랍니다.
그러면 둘은 차이는 뭘까요?
⓵ 산지오베제 비율
이탈리아 대표적인 토착품종인 산지오베제를 끼안띠는 75% 이상, 끼안띠 클라시코는 80% 이상 사용해야해요.
⓶ 생산 지역의 구분
다음 지도와 같이 생산 지역이 완벽하게 분리 되어 있어요. 붉은 부분이 끼안띠 클라시코, 바깥 회색이 끼안띠에요.
- 포함처럼 보이지만 포함이 아니라 분리 된 지역!
wine21.com
⓷ 재배 면적 당 수확량
끼안띠는 ha당 9톤, 나무 한 그루 당 3kg 로 제한되고, 끼안띠 클라시코는 ha 당 7.5톤, 나무 한 그루 당 2kg 로 제한돼요.
⓸ 최소 숙성 기간
끼안띠는 6개월, 끼안띠 클라시코는 12개월.
wine21.com
클라시코가 더 엄격한 기준을 통과하기 때문에 더 맛있는 와인을 많이 생산하냐고 묻는다면 대답이 어렵고, 말 그대로 좀 더 클래식한 스타일의 와인이 많이 생산된다고 대답할 수 있겠어요.
트렌디한 걸 찾는 워너비라면 끼안띠가 좀 더 잘 맞을 것!
그 외 재미있는 것들
신기하게 생긴 호리병 모양의 짚(?) 같은 건 ‘피아스코’ 라고 하는 거에요.
한 때는 피아스코에 담아 끼안띠를 팔았기 때문에 이 피아스코 = 끼안띠 라고 할 수 있었죠.
신세계에 백화점에서 가~끔 보이긴 하지만 이젠 잘 쓰지 않는 이유는 예전, 끼안띠의 품질이 좋지 않았을 때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키안티 클라시코는 검은 수탉 그림으로 유명해요.
이것은 키안티 조합에서 1924년부터 키안티 클라시코 와인의 차별화를 위해서 사용한 것인데 여기에는 숨은 이야기가 있답니다.
중세 시대, 키안티 지역 지배권을 두고 피렌체 공화국과 시에나는 피 터지는 전쟁을 지속했어요. 결국 두 공화국은 전쟁을 끝내고 국경을 정하기 위해 특이한 방식에 합의하게 돼요.
바로 수탉이 울면, 각 공화국에서 선택된 기사가 말을 달려 두 기사가 만나는 지점을 국경으로 정하기로 말이에요. (지금 우리가 생각할 땐 무척 불합리해 보이는 이 방식은 자연에 순응하는 삶의 방식을 지녔던 중세 시대에는 매우 합리적인 방법이었다고 해요.)
이에 시에나 사람들은 새벽에 기사를 깨우기 위해 흰 수탉을 선택했고, 행사 전 며칠 동안 수탉에게 먹이를 풍족히 주고 잘 보살폈고, 이와 반대로 피렌체 사람들은 검은 수탉을 골라 어둡고 좁아서 불편한 우리에 넣고 며칠 동안 수탉을 굶겼어요. 두 공화국 사람들은 말을 타고 달릴 기사보다 수탉에게 더욱더 집중하고 온통 신경을 곤두세웠어요. (더 넓은 영토를 차지 할 수 있으니까요!)
드디어 경주 당일, 며칠을 굶어서 독이 오를 때로 오른 검은 수탉은 그 끔찍한 우리에서 날이 밝기도 전에 악에 받쳐 울기 시작해요. 피렌체 기사는 서둘러 말을 타고 달리기 시작하면서 거의 모든 키안티는 피렌체 공화국 통치하에 들어가게 됐어요!
피렌체 공화국의 상징 → 검은 수탉 → 끼안띠 확보에 사용했던 이 검은 수탉을 끼안띠 클라시코의 상징으로 둔거에요!